티스토리 뷰

Android/CICD

[ CICD #4 ] Github Actions - local.properties

녹색꼬맹이 2025. 6. 11. 17:09
반응형
SMALL
반응형
SMALL

 

 

보통 API Key는 외부에 노출되면 안 되기 때문에 local.properties 파일에만 저장하여 로컬에서만 관리한다. 해당 파일은 .gitignore에 등록해 GitHub 저장소에는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한다.

 

GitHub Actions에서 자동화가 실행될 때 local.properties 파일이 없기 때문에, 워크플로우 내에서 해당 파일을 새로 생성하고 필요한 API Key를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

 

이 글에서는 local.properties 파일을 GitHub Actions에서 자동으로 생성하고, 필요한 API Key들을 삽입하여 빌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워크플로우를 정리한다.

 

 

우선 내가 사용하는 api key 들을 Github Actions secrets 에 등록해 준다

2025.05.28 - [Android/CICD] - [ CICD #1 ] GitHub secrets 등록 -1

 

[ CICD #1 ] GitHub secrets 등록 -1

예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빌드, 테스트, 배포 과정을 자동화에 대해서 시도해 보고 최종적으로 성공한 것에 대해 기록하고자 한다.CI/CD 도구로 여러가지가 있다는 건 알고만 있었다 1. Github Actions2

jihunstudy.tistory.com

 

 

그리고 

local.properties 를 생성하고 secrets 에 저장된 api key를 불러와 저장하는 워크 플로우 코드를 작성한다

 

# local.properties 파일 생성 (AdMob API 키 포함)
      - name: Create local.properties
        run: |
          echo "ADS_ID=${{ secrets.ADMOB_APP_ID }}" >> ./local.properties
          echo "ADS_FIXED_SIZE_BANNER_UNIT_ID=${{ secrets.ADMOB_UNIT_ID }}" >> ./local.properties

 

 

코드 내에서 사용하는 api key 이름은 ADS_ID 이며 

secrets 에 저장된 이름은 ADMOB_APP_ID 로 저장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코드가 나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 

 

저건 단순히 구글 애드몹 api key를 가져오는 코드다

 

그리고 local.properties 생성할 때 위치를 잘잡아줘야 하는데 root 폴더를 잘못 지정해줘서 에러가 난 적이 있다 

그냥 심플하게 ./ 이걸로 루트 위치를 잡아 주면 된다

반응형
LIST
댓글